중점연구사업

차세대 식품산업의 기반 구축을 위한 핵심기술과 원천기반기술 개발

우리 연구소는 우리나라 미래 농식품 및 바이오 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초 및 응용 연구를 4개의 분야로 나누어 농학, 화학, 공학, 의·약학, 분자생물학, 세포학, 유전체학, 산업경영 등의 관련 학문간 상호 협력에 의한 체계적인 융합연구를 수행하며, 세부 연구 내용은 연구소의 목표 달성을 위해 탄력적으로 수정 및 보완하며 수행한다.

바이오소재/신기술 연구

우리 연구소는 우리나라 미래 농식품 및 바이오 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초 및 응용 연구를 4개의 분야로 나누어 농학, 화학, 공학, 의·약학, 분자생물학, 세포학, 유전체학, 산업경영 등의 관련 학문간 상호 협력에 의한 체계적인 융합연구를 수행하며, 세부 연구 내용은 연구소의 목표 달성을 위해 탄력적으로 수정 및 보완하며 수행한다.

  • – 고부가가치 식품 신소재 탐색 및 기능 연구
  • – 농산물 기능성 향상 관련 효소기술 개발
  • – 고부가가치 농식품 소재 개발 및 산업화 기술 개발
  • – Nanotechnology 기반 신가공 및 공정제어 기술 개발
  • – 환경재료를 이용한 소재 및 신기술 개발
  • – 기타 농식품.바이오 소재 및 신가공 기술 개발

맞춤형 바이오 소재 연구

천연물유래 질환맞춤형 기능성식품 신소재를 개발하고, 개인의 유전정보에 따른 맞춤기능성식품을 개발한다.

  • – 유효물질과 표적단백질 간의 구조 활성 상관성 규명을 통한 신규 기능성 소재개발
  • – 기능성 성분의 효용성과 인체흡수율 개선을 위한 target delivery 시스템 연구
  • – 컴퓨터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한 기능성 신소재 탐색 개발
  • – 유효 물질과 표적단백질 간의 구조-활성 규명을 통한 신규 기능성 소재 개발
  • – 글로벌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원천특허 기술 확보
  • – 기타 기능성식품 및 소재 연구를 통한 물질 또는 기술 개발

농식품안전 연구

농수산식품의 안전성을 저해하는 다양한 위해인자들을 포괄적으로 동정하여 그 특성을 분자수준에서 규명하고 각 위해인자들을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한다.

  • – 미생물학적 위해인자의 포괄적 동정 및 기전의 분자생물학적 규명
  • – 유전체 기반 Fusarium 곰팡이 독소 상의조절체계의 특성규명 및 제어기술개발
  • – 독소형 병원균 면역독성인자 규명 및 제어기술 개발
  • – 위해인자의 분자 특성에 기반을 둔 효과적 제어 기술 개발 및 산업화 연구
  • – 기타 농수산식품의 안전에 관한 연구

농식품 산업경영 연구

농식품 기업 및 조합의 효율성과 안정성 제고를 위한 식품산업기술경영 기법을 연구한다.

  • – 농식품 비즈니스 생산관리 연구
  • – 농식품 유통체계의 혁신 및 정보화에 관한 연구
  • – 농식품 관련 인력에 대한 교육 및 최신 비즈니스 경영기법에 관한 연구
  • – 지속가능한 경영 및 변화관리등에 대한 연구
  • – 기타 농식품 비즈니스 경영기법에 대한 연구